
경복궁의 금천인 영제천에는 ‘메롱’ 하며 혀를 내미는 장난스러운 천록이 있다. 필자가 처음 경복궁 해설사가 되기 위해서 경복궁 금천교 좌우 남북의 석축에서 물을 내려다보는 천록에 대해서 해설을 들을 때였다. 유득공의 ‘경복궁 유관기’에 의하면 후한서에 기록된 천록은 물로 들어오는 사악한 기운을 막기 위해 금천교의 남북단 좌우 네 곳에서 파수를 서는 서수이다. 재미있게도 네 마리중 한 마리가 혀를 내밀고 메롱을 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이유는 기록에 없고 조상의 해학이 뛰어나다. 라는 정도의 추정만 있을 뿐이다. 역사에 대한 추정은 기록이 있거나 실체가 있을 때는 추정할 필요가 없지만 그러하지 못할 때는 합리적 추정이 필요하게 된다. 합리적 추정이 많은 사람의 동의를 얻으면 다수설이 되며 많은 다수설 들은..
문화
2024. 7. 7. 14:5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