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도시와 농촌, 첨단과 전통이 어우러진 도농복합자족도시로 성장성이 무궁무진하죠.”

 

아주 먼 훗날의 얘기이자 남의 얘기로만 여겨졌던 ‘지역소멸’은 어느덧 바로 우리 앞에 현실로 다가왔다. 실제로 해를 거듭할수록 심각해지는 저출산 문제와 초고령화사회 진입은 한국경제발전을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은 저마다 다양한 정책 등을 통해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에 대처하고자 혼신의 힘을 쏟아 붙고 있지만 도시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몇몇 도시들은 제외한 다수의 지방 중소도시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와중에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은 지방 소도시에서는 보기 드물게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상승추세다.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완주에서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다. 핵심은 결국 우량한 중소기업들의 유치와 그로 인한 인구 증가 효과로 볼 수 있다. 완주는 전형적인 농촌도시에서 현재 다수의 강소기업들이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도시로 성공적인 이미지 탈바꿈을 했다. 더 나아가 주거, 의료, 교육, 치안 등의 인프라가 확충된다면 인구 증가와 더불어 도시 경쟁력은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삶의 질을 높여주는 각종 인프라 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이들을 눌러 앉힐 수 없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지역민들은 하나같이 완주 자랑을 아끼지 않았다. 군민들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완주는 과연 어떤 도시일까.

 

유희태 완주군수
송광사
소양 벚꽃터널
만경강길 일몰

[시사의창 2024년 4월호=정용일 기자] 언제부터인가 소위 ‘지방경제시대’라는 말은 한국경제를 논할 때 빠지지 않는 하나의 키워드로 자리 잡았다. 말 그대로 불꽃처럼 활활 타오르던 그 거대한 불꽃이 전국 방방곡곡으로 퍼지며 각 지방경제의 경쟁력이 국가경제를 지탱하는 큰 힘이 되어 주었다.

 

하지만 국내외의 다양한 불안정 요소들로 인해 한국경제는 큰 타격을 받았다. 특히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의 여파는 한국경제도 피해가지 못했다. 그렇게 긴 어둠의 터널을 지나 코로나19가 종식되면서 다시 기지개를 켜는 듯했으나 경제상황이 그리 녹록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와 더불어 해를 거듭할수록 줄어드는 출산율과 젊은이들은 점점 사라지고 고령화되어 가는 지방 중소도시들의 지방소멸 문제는 그저 막연하게 생각만 해왔던 사회적 과제가 아닌 바로 우리들의 코앞에 닥친 심각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은 인구감소와 지역소멸이란 커다란 문제 앞에서 저마다 다양한 방법과 정책을 통해 이겨내려 눈물겨운 사투를 벌이고 있으며, 그 방법도 매우 다양하다.

 

먼저 줄어드는 인구 감소 해결을 위해 지역의 인구 이탈을 막아야 한다. 인구 이탈을 막기 위해선 지역민들이 행복을 누리며 살아갈 수 있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렇게 구축된 각종 인프라는 지역에서의 소비를 일으키게 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활력을 불어넣게 된다.

 

다음으로 지역으로의 새로운 인구 유입을 꼽을 수 있다. 귀농귀촌 인구를 위한 다양한 지원제도와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인구 유입을 꾀하는 방법도 있지만 각 지자체가 가장 선호하는 방법은 역시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서의 환경 및 인프라 구축과 각종 기업지원제도를 통한 우량한 기업들의 유치와 그에 따른 인구 증가다.

 

효과적인 측면에서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이기에 전국의 수많은 지자체들이 너도나도 ‘기업하기 좋은 도시’란 슬로건을 내걸고 기업 유치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누가 보더라도 명확한 매력이 없다면 쉽게 성공할 수 있는 정책도 아니다.

 

그렇다면 본지 기자들이 이번에 취재차 방문한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은 어떠한 경쟁력과 매력을 갖춘 도시인지, 인구소멸과 지방소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어떠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는지 한 번 들여다보도록 한다.

 

-이하 생략-

 

기사원문보기 클릭

 

[완주군청] 전북경제의 중심지로 부족함이 없다...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완주군의 팔색조 매력 -

아주 먼 훗날의 얘기이자 남의 얘기로만 여겨졌던 ‘지역소멸’은 어느덧 바로 우리 앞에 현실로 다가왔다. 실제로 해를 거듭할수록 심각해지는 저출산 문제와 초고령화사회 진입은 한국경제

sisaissu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