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시사의창 2025년 2월호=김향란 칼럼니스트] 흔히 하양은 순수함, 깨끗함, 창백함, 무결점의, 완벽함, 순결함 등을 상징한다. 그러나 자연은 한가지만을 의미하지 않음을 우린 이미 알고 있다. 다소 이분법적 사고일 수 있겠지만 한편으론 그러한 단순한 사고의 논리가 더 정확하게 판단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앞의 칼럼에서 색의 상대성에 이야기했고, 이중성에 대해서도 피력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검정과 하양을 동시에 놓고 보았을 때 검정의 무게감으로 인해 하양을 공격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하양은 검정을 누를 수 있는 카리스마와 공격성을 숨기고 있음이다. 태양을 보라. 밝게 빛나는 빛은 어둠을 삼키고 몰아낸다. 그렇듯 하양은 배경으로써 아닌 공간과 대상의 존재감을 압도하고 경계를 설정하고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색이다.
모든 색의 집합이면서 동시에 아무 색도 없는 듯 보이는 하양은, 하나의 현상 속에 ‘있음’과 ‘없음’이라는 양면적 의미를 담아낸다. 독일의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가 “자신의 존재 가능성을 문제 삼는 존재자(Dasein)”를 논하며 중요하게 다뤘던 ‘빈공간(공백)’의 개념과 맞닿아 있다.
-이하 생략-
[컬러인문학] 존재와 부재의 색, 하양 - 시사의창
[시사의창 2025년 2월호=김향란 칼럼니스트] 흔히 하양은 순수함, 깨끗함, 창백함, 무결점의, 완벽함, 순결함 등을 상징한다. 그러나 자연은 한가지만을 의미하지 않음을 우린 이미 알고 있다. 다
sisaissue.com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성민 칼럼] 윤석열 탄핵, 더는 늦출 수 없다 (1) | 2025.03.29 |
---|---|
[불교칼럼] 오색이 영롱한 구슬 (0) | 2025.02.10 |
[뷰티칼럼] 세럼 앰플 차이, 에센스와 어떻게 다를까? (0) | 2025.02.10 |
[인사노무칼럼] 2025년부터 달라지는 노동 관련 법·제도 (0) | 2025.02.10 |
[자동차칼럼] 적이 누구인지, 아군이 누구인지도 모르는 경제적 환경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