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주가 반드시 알아야 할 인사노무상식 [시사의창 2025년 2월호=이영승 공인노무사] 2025년부터 개별적 근로관계 분야, 산업안전보건 및 산재보험 분야, 노동조합 및 노사관계 분야, 사회보험 및 고용정책 분야에서 달라지는 법·제도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 개별적 근로관계 분야 -이하 생략- 기사원문보기클릭 https://sisaissue.com/View.aspx?No=3531832 [인사노무칼럼] 2025년부터 달라지는 노동 관련 법·제도 - 시사의창[시사의창 2025년 2월호=이영승 공인노무사] 2025년부터 개별적 근로관계 분야, 산업안전보건 및 산재보험 분야, 노동조합 및 노사관계 분야, 사회보험 및 고용정책 분야에서 달라지는 법·제도에sisaissue.com

사업주가 반드시 알아야 할 인사노무상식 [시사의창 2024년 12월호=이영승 공인노무사] 1.유연근무의 개념과 유형유연근무는 근로자와 사용자가 근로시간이나 근로장소 등을 선택·조정하여 일과 생활을 조화롭게 하고, 일하는 방식 변화를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근무 방식을 말한다.유연근무의 유형으로는 근로시간을 유연하게 활용하는 시차출퇴근, 선택근무제, 근로시간 단축제 등과 근로 장소를 유연하게 활용하는 재택근무, 원격근무 등이 있다.2. 유연근무 설계 및 도입 절차시차출퇴근, 선택근무제, 재택·원격근무 등은 총 근로시간의 변경이 없는 제도로 노사간 자율적으로 도입이 가능하다.근로시간 단축제도의 경우에는 요건에 해당하는 근로자가 신청할 경우 사업주는 특정 예외 사유를 제외하고는 허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사업주가 반드시 알아야 할 인사노무상식 [시사의창 2024년 7월호=이영승 공인노무사] 1. 휴일의 대체와 보상휴가제비슷한 듯 다른 두 제도가 있다. 휴일의 대체와 보상휴가제가 그렇다. 얼핏 보기엔 아주 유사해보이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많은 부분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휴일의 대체의 개념과 도입근거, 보상휴가제의 개념과 도입근거 그리고 관련 Q&A를 통해 두 제도를 살펴보도록 하겠다.2. 휴일의 대체(1) 휴일의 대체 개념휴일의 대체는 ‘휴일’에 근로를 하고 대신에 다른 특정일(소정근로일)을 휴일로 변경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휴일 대체에 따라 대체된 휴일은 근로일이 되고 대체된 근로일은 휴일이 된다. -이하 생략- 기사원문보기클릭 [인사노무칼럼] 휴일의 대체와 보상휴가제 - 시사의창[시사의창 ..

1. 6+6 부모육아휴직제란? 날로 심화되는 저출산 현상에 대응하고자, 2024년 1.1부터 기존 3+3 부모육아휴직제가 6+6 부모육아휴직제로 확대·개편되었다. 기존 3+3 부모육아휴직제의 목적이 부모의 직접적인 양육이 절실한 영아기 시기에 부모 모두가 육아휴직을 통해 양육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6+6 부모육아휴직제에 대한 Q&A를 통해 제도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2. 6+6 부모육아휴직제 Q&A (1) 일반적인 육아휴직 6+6 부모육아휴직제의 다른점 ① 일반육아휴직제는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까지 활용할 수 있는 반면 6+6 부모육아휴직제의 경우 자녀가 생후 18개월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활용할 수 있다. ② 일반 육아휴직제는 적용 기간이 1..